아이건강 지키기

home 육아/섭생 아이건강 지키기
--
게시글 자세히 보기
제목

레녹스가스토증후군에 대하여...

날짜 2013-01-08
간편주소 http://inyogi.com/network/jamsil/link/online_blog/4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 (Lennox-Gastaut syndrome, LGS)


정의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은 여러 가지 형태의 경련과, 발달부전, 충동조절의 장애 등의 행동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소아기의 간질성 뇌병증으로 소아기에 발생하는 간질 중 가장 심한 형태의 간질로서 보통 만 1-8세까지의 소아에서 발병하고 1-3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가장 반응이 좋지 않은 간질증후군의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어떤 단일한 원인에 의한 질환은 아니고 약 20% 정도는 West증후군(영아연축)으로부터 유래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대개는 이전에 부분발작이나, 전신성 경련 등 다른 형태의 간질을 앓고 있었던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
여러 가지 형태의 경련과, 발달부전, 충동조절의 장애 등의 행동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강직 발작이 주된 형태이나 발작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약 2/3정도는 진단시 또는 발병이전에 정신지체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진단 후 2년 이내에 정신지체의 징후가 나타나므로 이로 인해 학령기 아동의 경우 학습 장애를 경험하게 된다. 과잉행동장애나 인지능력장애등이 일반적으로 나타납니다. 

아이엔 여기 LGS클리닉
레녹스가스토증후군의 치료는 항경련제로서 경련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맑은한약(증류기해탕)을 이용하여 기체증을 해결함으로써 뇌 발달이 왕성한 성장기 아이에게 뇌의 이상을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고 뇌의 기능대사와 몸의 신진대사를 증진시켜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생활 관리를 통해 보다 빠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알려드릴 것입니다. 



참조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Lennox Gastaut Syndrome)을 흔히 영문 약자로 LGS라 한다. LGS는 약물로 조절하기 매우 힘든 유형의 간질로서 일반적으로 1-8세 사이의 어린 나이에 시작되며, 그 특성은 여러 유형의 발작이 나타나고 발달 장애를 동반한다. 간질 아동의 3-11% 정도가 LGS로 진단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만 3세에 LGS가 시작된다. LGS 아동은 여러 가지 유형의 발작을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LGS 아동에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발작 유형은 강직(tonic), 탈력(atonic), 결신 발작(atypical absence seizures)이다. 발작이 자주 나타나는 때와 드물게 나타나는 때가 주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LGS 아동은 대부분 어느 정도의 정신지체를 동반하고 있다. 대략 LGS 아동의 2/3 정도는 LGS 진단시 또는 이전에 정신지체의 징후를 보인다. 그 외의 경우에는 LGS 진단 후 2년 이내에 정신지체의 징후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학령기 아동의 경우 학습 장애를 경험하게 된다. 지능 저하의 원인은 LGS의 근본 원인(원인이 밝혀진 경우), 항경련제의 진정 효과, 조절되지 않는 발작으로 인한 뇌 속에서의 비정상적인 전기에너지 방출 등이다.


LGS는 영아 연축(Infantile Spasm)이라고도 하는 웨스트 증후군(West Syndrome)에 뒤이어 나타나기도 한다. 웨스트 증후군의 일반적인 발작 양상은 양손을 앞으로 뻗치고 고개를 앞으로 숙이면서 눈은 위로 치켜 뜨는 것으로서 몇 초 정도로 짧게 나타난다. 보통 생후 3개월에서 8개월 사이에 발생하여 2-3세 경에 여러 유형의 발작을 동반하는 LGS로 진행한다.


LGS는 또한 흔하지 않은 기타 유아기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여러 유형의 발작이 나타나고 특히 발달 장애 및 정신지체가 동반하는 아동일 경우에 LGS로 진단한다. 발작은 LGS 아동이 어느 정도 정신을 차리고 있는가 와도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말해 자극이 지나치거나 없어도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을 주면서도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일일 발작 회수를 줄이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식사, 수면, 투약 시간등을 엄수해야 할 것이다.


발작은 다른 질병이나 특히 고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설사나 구토 등은 약 성분의 체내 흡수에 영향을 미치므로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간질 지속 상태 또는 간질 중첩증(status epilepticus)이란 발작이 30분 또는 그 이상 계속되거나 환아가 의식을 되찾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발작을 지속하는 경우를 말한다. LGS 환아의 50% 정도가 간질 중첩증을 경험하게 된다. 간질 중첩증은 경련성과 비경련성으로 나뉘며, 몇 시간에서 몇 일씩 지속될 수도 있고 비경련성의 경우에는 몇 주 또는 몇 달까지 지속될 수 있다. 간질 중첩증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은 갑작스런 투약 중단, 질병, 고열, 감염 등이다.


LGS 아동의 간질 중첩증은 대부분 비경련성이다. 간질 중첩증의 경우 LGS의 환아는 심각하게 혼란스러워하고, 무감각하고, 멍청하고 심한 경우에는 치매 같은 증세를 보인다. 흔히 눈에 잘 띄지 않는 근육 경련이 나타나고, 균형 감각과 근육의 조절 능력(coordination)이 크게 떨어진다.경련성 간질 중첩증의 경우에는 직장을 통한 진정제의 투여를 통해 즉각적으로 발작을 중단시키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뇌손상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일부 부모나 보호자는 진정제의 직장 투여법을 배우기도 한다. 진정제의 직장 투여법을 배우는 것에 대하여는 담당 의사와 논의해야 할 것이다.


LGS의 예후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발작, 발달 장애, 정신 지체 등과 관련하여 그 예후가 환아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LGS는 영구적이며 환아의 2/3는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발작이 잘 조절되지 않는다.


LGS 아동의 약 80%가 성인이 되어서도 발작을 계속 경험한다. LGS로 진단이 된 후 몇 년이 지나면 초기에 발작 조절의 어려움에 대한 관심 보다는 정신지체에 관심이 모아지게 된다. LGS 아동이 발작이 완전히 멈추고 정상적인 발달을 하는 등 완치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Source: Lennox Gastaut Syndrome Support Group

양방에서는 여러종류의 항경련제를 처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련의 빈도나 정도에 호전을 잘 보이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지적 능력이나 행동장애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수술적 요법의 뇌량 절제술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

목록

아기 야제증, 야경증 치료         아기 야제증/야경증 원인 왜 생길까요?   아기의 소화력을 넘는 과식을 했을 때,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빠른 이유식을 했을 때, 소화흡수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아기 몸에는 노폐물이 축적되고 상초기체증, 중초기체증이 발생합니다. 이럴…
아기 야제증, 야경증 증상, '밤에 자다가 우는 아이'         밤에 자다가 깨서 우는 아이, 잘 재웠다고 생각했는데 금새 깨서 칭얼대는 아이   아직 어려서 그러려니... 아기니깐 그렇겠지... 어려서 밤에 안자고 우는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아기 야제증은 못자서 우는 병입니다!!!   0~2세 사이의 아기들이 밤에 우는 증상을 야…
소아, 어린이 야뇨증 치료 야뇨증 있는 아이들 얼마나 많을까요?   한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소아의 15% 정도에서 야뇨증이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야뇨증은 성장하면서 성인이 되면 점차 사라집니다. 야뇨증이 있는 아이 중 남자 어린이 야뇨증이 여자 어린이 야뇨증보다 2배 정도 많은 편입니다.   소아…
소아 야뇨증 증상 체크! 우리 아이 야뇨증일까요? 아이엔여기한의원에는 소아 야뇨증으로 오는 어린이 환자가 많습니다. 엄마 손에 이끌려 오는 아이들의 얼굴은 천진난만하기만 한데요.   밤에 자다보면 아직 어리니깐 실례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만4세 이후에도 계속될 경우 야뇨증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nbs…
어린이 식욕부진 치료 군것질이나 음료수 등 몸에 나쁜 음식은 즐기면서도 정작 잘 먹어야 할 밥은 입에 물고 삼키지 않는 아이는 밥을 잘 먹지 않는 식욕부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이엔여기한의원의 어린이식욕부진 한의원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당연히 잘 먹어야 할 음…
어린이 식욕부진 원인, 밥 잘 안먹는 아이 VS 밥 못먹는 아이         밥을 안먹는게 아니고 못 먹는건 아닐까요? 아이들 키우다 보면 힘들고 속상할 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아이가 아플 때, 아이가 또래보다 키가 작고 왜소할 때, 아이의 발달이 평균보다 느릴 때 정말 다양한데요   그 중에서 일상적으로 매일매일 겪어야 하는…
성조숙증 조기치료 성조숙증, 초등학생 비만 문제 과거에는 찾아보기 힘든 증상이 요즘 아이들에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성조숙증치료 잘하는곳 아이엔여기한의원에서 성조숙증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성조숙증 조기치료! 왜 빨리 치료해야 할까요?     ▶ 성조…
초등학생 남아, 여아 성조숙증 증상은? 조숙증 치료를 위해 아이엔여기한의원을 찾는 아동들이 늘고 있습니다.   성조숙증이란 2차 성징이 이른 나이게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데요 성조숙증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고, 성조숙증 원인을 알아보고 미리예뱡하시기 바랍니다.            초등학생 성조숙증 발…
투렛증후군 환자 증상 vs 틱장애증상 차이는? <괜찮아 사랑이야> 드라마에서 이광수가 열연하고 있는 투렛증후군 환자. 투렛증후군 환자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어제 포스팅에서는 7살 남자아이의 투렛증후군 증상과 치료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투렛증후군이란 무엇이고 틱장애와 어떻게 …
출산 후 피부트러블 두드러기, 가려움증 피부질환  출산후 산후조리는 여성의 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산후조리를 잘 못하게 되면 산후조리기간이 끝나도 통증과 질환이 재발하기 때문입니다.   출산후 피부트러블, 피부질환도 마찬가지로 생각해야 합니다.  산후풍이나 산후부종, 산후비만, 산후우울증처럼 출산 후 두드러…
 1  2  3  4  5  6  맨끝 처음으로 이전 1 다음 마지막으로
게시물 검색

아이엔여기 지점 안내

아이엔여기 네트워크 안내

아이엔여기 클리닉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