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건강 지키기

home 육아/섭생 아이건강 지키기
--
게시글 자세히 보기
제목

한의원에서 아이들을 진찰하는 법

날짜 2013-01-19
간편주소 http://inyogi.com/network/jamsil/link/online_blog/9

"왜 진맥을 안하면서 아이를 데려오라고 합니까?"

앞서 내용에서도 언급되었던 내용이지만 아이들은 진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어른과 달리 언어와 감정의 발달이 미숙하여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데다 증상의 변화가 어른에 비해 매우 빠르며 오장육부도 완전하지 않아 그 증상이 외부로 잘 표시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때문에 직접 만져보고 눌러보는 진찰(절진-切診-이라 합니다)이 어려워 흔히 알고있는 맥을 짚어 보는 진찰도 쉽지 않습니다.

맥을 짚기가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른들은 손목의 동맥이 뛰는 곳에서 맥을 짚지만 아이들은 워낙에 약하게 빠르게 뛰므로 크게 구별이 가지 않습니다. 또 겁을 먹거나 울어버릴 때는 맥이 더 빨라지고, 손을 계속 움직이므로 정확하게 진찰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를 알면서도 가끔 엄마들이 "왜 진맥을 안 하면서 아이를 데려 오라 합니까?" 하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도 그들 나름대로 진단방법이 분명히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문진이라 하여 어디가 아픈가, 아이에게 어떤 냄새가 나는 가를 묻고 살피며 절진이라 하여 맥을 짚어봅니다. 또 망진이라 하여 몇 가지 부분에서 아주 어린애에겐 소용없지만 얼굴 색과 형태, 신체의 모양, 손가락의 혈관 모양과 색, 대변의 모양과 색을 봅니다. 어떻게 보면 어른의 진단과 별 다를 바 없어도 더 꼼꼼하게 아이의 모든 것을 관찰하는 진단이 행해집니다.

무엇보다 엄마들은 기계에 의존하거나 또는 자신만의 특별한 진단방법으로 아이들을 진찰하는 방법에 안심하지 말고, 성실히 모든 증상을 종합해서 어떤 진단과 처방을 내려주는 가에 관심을 가져야합니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한방에서 추구하는 아이들을 위한 진단법입니다. 다음은 아이들을 진단하는 몇가지 방법입니다.


아이들의 맥을 짚는 법

액맥법(額脈法)이라 하여 돌 전 아이에게 많이 행해집니다. 눈썹 위부터 머리부분 아래 이마에 둘째, 셋째, 넷째 손가락 세 개를 얹어 느껴지는 온도 차이에 따라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일지삼부맥은 일곱 살에서 열 두세 살까지의 아이들에게 씁니다. 손가락 세 개를 쓰지 않고 한 손가락으로 팔목 관절 부위에서 진단합니다. 부위가 좁기 때문에 한 손가락만 사용하여 한번 숨쉬는 동안에 맥박수가 6, 7번 뛰면 정상이고, 8, 9번 뛰면 열이 있고, 10번 이상 뛰면 열이 심한 것이라 합니다.


보고 알 수 있는 진단법

망진 즉, 보고 알 수 있는 진단은 2망(望) 3찰(察)이 있습니다. 2망은 망신색(望神色), 망형태(望形態)이고 3찰은 찰묘규(察苗窺), 찰지문(察指紋), 찰이변(察二便)입니다.
 
망신색
망신이란 아이의 눈빛 속에 신령이 살아있는지(靈活)에 대한 여부와 정신상태의 정상을 보는 것입니다. 한방에서는 아이는 신령스런 존재라 하여 육체보다는 정신에 더 많이 치중되어 있다고 봅니다. 때문에 신령한 기운이 충만한 아이는 눈에 광채가 있으며 정신이 선명하고, 반응에 민감하여 얼굴에 미소를 갖고 있습니다.

또 망색이란 얼굴에 비춰진 기운의 색(氣色)과 피부의 색을 봅니다. 얼굴은 12경맥이 모두 지나는 곳으로 오장육부의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눈이 흐릿하고 생기없이 어둔 색을 발하며 의기소침하여 잠만 자서 반응이 둔한 아이는 비위가 허약하여 설사를 오래합니다. 망색으로 본 건강한 아이의 피부색은 그 모양이 어떻든 윤기가 흐르며 붉은 색이 돕니다.
 
망형태
형체가 강하거나 약한 것은 신체 내부의 오장육부의 강약을 나타냅니다. 때문에 형체를 보면 발육의 정상 여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내 아이가 뼈가 강건하고 포동포동 살집이 있으며 모발이 검고 광택이 나는데 행동이 민첩하면 잘 자라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찰묘규
묘규란 눈/코/귀/입/혀 및 소변과 대변이 나오는 곳을 뜻하는데 오장(五臟)의 상태를 외부로 표현하는 구멍을 말합니다. 즉 혀는 심장, 눈은 간, 폐는 코, 비장은 입, 신장은 귀와 소대변이 나오는 곳으로 기능의 강약을 표현합니다. 물론 건강한 아이는 눈이 청량하고 코가 잘 뚫려있으며, 귀가 잘 들리고 소/대변이 잘 나옵니다.
 
찰지문
호구삼관맥법(虎口三關脈法)이라 말하는데 1세에서 6세 아이에게 행하는 방법으로 아이의 둘째손가락 안쪽에 나타나는 손가락의 색의 변화와 혈관의 모양과 색채 등에 따라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정상적인 아이는 손가란 첫마디이하에서 홍황색의 핏줄이 은은하게 드러납니다.
 
찰이변
대소변의 관찰은 소화 및 배설 기능의 정상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장과 신장이 허약하면 음식물이 그대로 나오면서 설사가 그치지 않고, 대변이 묽고 우유나 음식물 찌꺼기가 섞여 나오면 소화불량입니다. 또 소변이 황적색에 대변이 희면 황달을 의심할 수 있으며 소변이 너무 투명하고 많이 나오면 몸이 찬 기운이 많아 병이 된 경우입니다. 건강한 아이는 대변이 주로 황색, 황금색, 담갈색 등이고, 소변은 연한 황색입니다.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

목록

[일산 화정점] 아이들 성장에 관한 이야기 -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운동과 음식 성장에 대한 문의를 주셨던 어머니가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제가 처방하는 한약 이외에, 운동과 식이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남자와 여자 아이는 호르몬 분비가 다르기 때문에 방법에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1. 남자아이 - 운동 : 점핑을 하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
기체증이 생기는 부위와 질병 기체증은 어느 부위에라도 생길 수 있으나 그 양상에 따라 인체의 구조를 3분하여 상초기체증, 중초기체증, 하초기체증으로 나누어 치료하게 됩니다. 해당 부위에 기체증이 생기면 그 부위와 관련된 질환이 생기게 되고 다른 질환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체증이 생기는 부위별 종류 …
기체증과 수승화강! 한의학적인 관점의 노폐물에 대하여... 한의학적인 관점의 노폐물 내용이 조금 어려울수 있어요~ 하지만 마지막 단락의 결론을 보시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음식에 의한 노폐물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쌓이게 되서 어떤 현상을 일으키냐 부터 시작합니다. 한의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생리 이론 중에 수…
아이가 소화력이 약해서 맨날 더부룩해요, 체증(소화불량) 체증(소화불량) 체증이란? 우리가 잘못된 음식을 먹으면 노폐물이 생기고, 그로 인해 우리 내부의 균형이 깨집니다. 이렇게 생긴 열독이 중초(소화기쪽)에 정체되면 소화기의 운동성이 정체되고, 소화효소 반응이 느려지게 됩니다. 이때 생기는 여러 증상을 체증이라고 부릅니다. 증상 체증은 과식…
적당하게 먹는 것이 기체증 없이 건강해지는 지름길! 적정량과 균형의 중요성 적정량이란? 음식은 체질과는 상관없이 먹어도 되는 음식하고, 안 되는 음식으로 나눴을 경우, 된다는 음식을 70~80% 정도 먹으면 병이 생기지 않습는다.  최근 건강식품 중에서 오메가3, 오메가6가 있습니다. 오메가3는 우리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는 성분이고, 오메가6는 …
기체증과 질병의 원인인 열독에 대하여... 화기에서 열독까지 이론 병의 원인이 기체증 때문이라는 언급을 계속해왔는데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질병이 왜 생길까요? 음식을 잘못 가려서 노폐물이 생기는데, 이 노폐물을 열이라고 하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는 노폐물이란 개념은 화기가 너무 많아지는 것입니다.…
[강남점] 너무 빨리 자라도 문제! 성조숙증이란? 성조숙증이란? 때를 놓치면 후회한다는 말이 가장 어울리는 것이 키가 클 때일 것입니다. 공부는 늦은 나이에 다시 시작 하는 경우도 있지만 키가 자라는 것은 시기를 놓치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성조숙증이나 성장통 등의 질환때문에 아이들의 성장 원동력을 잃지 않도록 꼼꼼히 챙…
[강남점] 키가 크려면 아프다? 성장통의 원인과 치료 성장통이란? 성장기 아이들이 뚜렷한 원인 없이 종아리, 허벅지의 근육이 당긴다거나, 무릎관절, 고관절, 발목, 팔등의 관절이 간헐적으로 아프다고 호소하는 질환으로 통계에 의하면 전체 어린이의 약 30%에서 경험한다고 합니다. 성장통의 원인은? 양의학적으로는 아직 성장통의 정확한 원…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 소아복통 체크하기 소아복통 복통이란? 복통은 아이가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중의 하나로서 명치 아래와 배꼽 주위, 아랫배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말합니다.  아이가 너무 어릴 경우에는 자기가 어디가 아픈지 스스로 파악하지 못해 어디가 아프냐고 물어보면 다른 곳이 아파도 계속 배가 아프다고 말을 하는 경우…
한의원에서 아이들을 진찰하는 법 "왜 진맥을 안하면서 아이를 데려오라고 합니까?" 앞서 내용에서도 언급되었던 내용이지만 아이들은 진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어른과 달리 언어와 감정의 발달이 미숙하여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데다 증상의 변화가 어른에 비해 매우 빠르며 오장육부도 완전하지 않아 그 증상이 외부로 잘 표시…
처음  1  2  3  4  5  6  맨끝 처음으로 이전 1 다음 마지막으로
게시물 검색

아이엔여기 지점 안내

아이엔여기 네트워크 안내

아이엔여기 클리닉 안내